알고리즘/자바

[백준 알고리즘] 2504번 자바(Java) 괄호의 값

2023. 7. 21. 21:57
목차
  1. 문제
  2. 입력
  3. 출력
  4. 시간복잡도
  5. 풀이
  6. 소스코드

조건

문제
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
  1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
  2. 만일 X가 올바른 괄호열이면 ‘(X)’이나 ‘[X]’도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  3. X와 Y 모두 올바른 괄호열이라면 이들을 결합한 XY도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
예를 들어 ‘(()[[]])’나 ‘(())[][]’ 는 올바른 괄호열이지만 ‘([)]’ 나 ‘(()()[]’ 은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아니다. 우리는 어떤 올바른 괄호열 X에 대하여 그 괄호열의 값(괄호값)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값(X)로 표시한다.

  1. ‘()’ 인 괄호열의 값은 2이다.
  2. ‘[]’ 인 괄호열의 값은 3이다.
  3. ‘(X)’ 의 괄호값은 2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  4. ‘[X]’ 의 괄호값은 3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  5. 올바른 괄호열 X와 Y가 결합된 XY의 괄호값은 값(XY)= 값(X)+값(Y) 로 계산된다.

예를 들어 ‘(()[[]])([])’ 의 괄호값을 구해보자. ‘()[[]]’ 의 괄호값이 2 + 3×3=11 이므로 ‘(()[[]])’의 괄호값은 2×11=22 이다. 그리고 ‘([])’의 값은 2×3=6 이므로 전체 괄호열의 값은 22 + 6 = 28 이다.

여러분이 풀어야 할 문제는 주어진 괄호열을 읽고 그 괄호값을 앞에서 정의한대로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이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괄호열을 나타내는 문자열(스트링)이 주어진다. 단 그 길이는 1 이상, 30 이하이다.

출력

첫째 줄에 그 괄호열의 값을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일 입력이 올바르지 못한 괄호열이면 반드시 0을 출력해야 한다.

시간복잡도

  • 스택의 시간복잡도
    • 맨위 데이터 접근/삭제, 데이터삽입 : O(1)
    • i번째 데이터 접근/삽입/삭제: O(n)
  • 맨위데이터 접근, 삽입, 삭제만 하므로 O(1)만큼 n번 총 O(n)만큼의 시간복잡도 발생한다

풀이

  • 결국 괄호의 완성은 닫는 괄호가 있어야하는것이고 닫는괄호가 나올때 앞에 여는 괄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면 되기때문에 ‘(’ 와 ‘[’ 는 집어넣기만 하면된다.
  • ‘)’와 ‘]’일때만 이제 앞에 여는 괄호를 찾는 조건을 만들어주면 된다.
  • 더 고민할부분은 중간에 괄호 () 는 2 이고 []는 3, 추가로 안에 이미 수로 변해버린 괄호가있으면 2x , 3x를 해줘야하는데 이를 어떻게 처리하냐였다. 중간에 괄호에서 수로 변환된 값도 스택에 넣기로 생각하고 풀었다.
  • 아래 문자열에 따라 스택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그림으로 보면 이해가 빠를거같다.

괄호열 읽기전 세팅
'('이므로 stack.push() 해준다
똑같이 '('이므로 push만
')'이므로 '('가 나올때까지 pop 추가로 '()'는 2로 치환
'[' 이므로 stack.push()만
똑같이 '['이므로 push만
']'이므로 '[' 가 나올때까지 pop '[]'는 3으로 치환
']'이므로 '['가 나올때까지 pop '[3]'은 9로 치환
')'이므로 '('가 나올때까지 pop, (2 9) 는 22로 치환

 

'(' 이므로 stack.push()만
'['이므로 stack.push()만
']'이므로 '['가 나올때까지 pop, '[ ]'은 3으로 치환
')' 이므로 '('가 나올때까지 pop, '(3)' 은 6으로 치환

이렇게 진행하면 결국 스택에는 22, 6이 남고 더하면 28이 나오므로 답은 28이다.

 

 

예제 입력 예시

(()[[]])([])

 

예제 출력 예시

28

소스코드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ack;

//2504
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char[] bracketArr = br.readLine().toCharArray();
        Stack<String> bracketStack = new Stack<>();
        boolean forward = true;
        for (Character ch :bracketArr) {
            String bracket = Character.toString(ch);
            if(bracket.contains("(")||bracket.contains("[")){
                bracketStack.add(bracket)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 if(bracketStack.isEmpty()){
                forward = false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 if(bracket.contains(")")){
                if(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(")){
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pop();
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push("2"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else{
                    int bracketSum = 0;
                    while(!bracketStack.isEmpty()&&!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(")){
                        if(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["))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forward = false;
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    bracketSum += Integer.parseInt(bracketStack.pop()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if(bracketStack.isEmpty()|| 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[")){
                        forward = false;
    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pop();
    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add(Integer.toString(bracketSum*2));
    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 if(bracket.contains("]")){
                if(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[")){
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pop();
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push("3"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else{
                    int bracketSum = 0;
                    while(!bracketStack.isEmpty()&&!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[")){
                        if(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("))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forward = false;
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    bracketSum += Integer.parseInt(bracketStack.pop()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if(bracketStack.isEmpty()|| bracketStack.peek().contains("(")){
                        forward = false;
    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pop();
                        bracketStack.add(Integer.toString(bracketSum*3)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    if(!forward){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//출력문
        int sum = 0;
        if(forward){
            while(!bracketStack.isEmpty()){
                String popBracket = bracketStack.pop();
                if(popBracket.contains("(")||popBracket.contains(")")||popBracket.contains("[")||popBracket.contains("]")){
                    sum = 0;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else{
                    sum += Integer.parseInt(popBracket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sum);
    }
}

 

 

 

 

문제 출처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04

 

2504번: 괄호의 값
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 만일 X

www.acmicpc.net

 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알고리즘 > 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 알고리즘] 1967번 자바(Java) 트리의 지름  (0) 2023.07.26
[백준 알고리즘] 1697번 자바(Java) 숨바꼭질 BFS  (3) 2023.07.25
[백준 알고리즘]23309번 자바(Java) 철도공사  (2) 2023.07.21
[백준 알고리즘] 12904번 자바(Java) A와 B  (1) 2023.07.13
[백준 알고리즘] 18110번 자바(Java) solved.ac  (2) 2023.06.06
  1. 문제
  2. 입력
  3. 출력
  4. 시간복잡도
  5. 풀이
  6. 소스코드
'알고리즘/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967번 자바(Java) 트리의 지름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697번 자바(Java) 숨바꼭질 BFS
  • [백준 알고리즘]23309번 자바(Java) 철도공사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2904번 자바(Java) A와 B
Ash_jisu
Ash_jisu
JisuStoryAsh_jisu 님의 블로그입니다.
Ash_jisu
JisuStory
Ash_jisu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36)
    • 알고리즘 (68)
      • 자바 (68)
      • C++ (0)
    • 자바(Java) (18)
    • 스프링 (7)
      • 테스트 (3)
    • 데이터베이스 (3)
      • SQL (7)
      • JPA (1)
      • ElasticSearch (3)
    • CS (3)
    • 배포, 운영 (6)
      • Infra (3)
    • 디자인 패턴 (8)
    • 기타 (6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코딩테스트
  • Elasticsearch #Testcontainer #Test
  • 백준 #BFS
  • 자바 #그리디
  • 알고리즘 #bfs
  • swea #구현
  • 백준 #DP
  • db
  • 자바
  • 백준
  • java
  • bfs #알고리즘
  • dp
  • 배포
  • 자바 #백준
  • BFS
  • 프로그래머스 #알고리즘
  • 알고리즘 #다익스트라
  • API테스트 #Postman
  • Elasticsearch #최적화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Ash_jisu
[백준 알고리즘] 2504번 자바(Java) 괄호의 값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