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/자바

[백준 알고리즘] 10866번 자바(Java) 덱

Ash_jisu 2023. 5. 23. 21:42

문제

정수를 저장하는 덱(Deque)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.

  • push_front X: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.
  • push_back X: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.
  • pop_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pop_back: 덱의 가장 뒤에 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size: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• empty: 덱이 비어있으면 1을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  • 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 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
출력
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
 

풀이

 - 복잡도 측면

통상 복잡도 1억이 1초의 시간을 잡아먹는다.

따라서 0.5초에 주어진 명령의수가 최대 10,000 이므로 n의 제곱 만 피해서

계산해주면 된다. 각 명령에 대해 복잡도를 보면 덱의 추가와 삭제는 n(1)의 복잡도를 가지고 

또한 맨앞과 맨뒤접근은 n(1)의 복잡도를 가진다. 

deque.isEmpty()함수도 n(1)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시간복잡도 측면에서는 고려해야할 부분이 없다.

 - 풀이

덱의 함수 사용법을 익히는 과정으로 생각하면 된다.

덱은 스택과 큐를 합쳤다고 생각하는게 편하다. 삽입과 삭제, 접근이 처음과 끝 어디서든 시작 가능하다.

간단하게 함수설명하자면 추가할땐 addFirst 또는 addLast, 삭제시에는 removeFirst, removeLast,

접근시에는 getFirst와 getLast로 가능하다.

추가로 크기를 알수있는 size와 비어있는지 확인하는 boolean형 함수 isEmpty가 있다.

 - 코드 소개

위에 말했듯 덱의 함수들을 사용해서 이문제를 풀었다.

추가로 코드의 간결성을 위해서 함수 return을 삼향연산자를 사용했다. 따로 설명은 언급안하겠다.

main에서는 사실 case대신 if와 elseif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지만 case문이 더 깔끔해서보여서 저렇게 표현하였다.

마지막으로 프린트문을 더 빠르게 실행해줄수있는 StringBuilder를 사용해서 출력하였다. 사용법은 블로그 내 StringBuilder사용법을 참고하면 더 좋다 

 

예제 입력 예시

15
push_back 1
push_front 2
front
back
size
empty
pop_front
pop_back
pop_front
size
empty
pop_back
push_front 3
empty
front

예제 결과 예시

2
1
2
0
2
1
-1
0
1
-1
0
3

소스코드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Deque;
import java.util.Deque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
//p10886 덱

public class Main {
    static Deque<Integer> deque;

    static void push_front(int num) {
        deque.addFirst(num);
    }

    static void push_back(int num) {
        deque.addLast(num);
    }

    static int pop_front() {
        return (deque.isEmpty())?-1:deque.removeFirst();
    }

    static int pop_back() {
        return (deque.isEmpty())?-1:deque.removeLast();
    }

    static int size(){
        return deque.size();
    }

    static int empty(){
        return (deque.isEmpty())?1:0;
    }

    static int front(){
        return(deque.isEmpty())?-1:deque.getFirst();
    }

    static int back(){
        return(deque.isEmpty())?-1:deque.getLast();
    }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 //선언
        StringTokenizer st;
        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        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        deque = new ArrayDeque<>();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       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    String str = st.nextToken();
            switch(str) {
                case "pop_front":sb.append(pop_front()).append("\n");break;
                case "pop_back":sb.append(pop_back()).append("\n");break;
                case "size":sb.append(size()).append("\n");break;
                case "empty":sb.append(empty()).append("\n");break;
                case "front":sb.append(front()).append("\n");break;
                case "back":sb.append(back()).append("\n");break;
                case "push_front":
                    int nu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            push_front(num);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case "push_back":
                    int num2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            push_back(num2);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sb);
    }
}

 

 

 

 

문제 출처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66

 

10866번: 덱
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

www.acmicpc.net